작성일자: 2004.06.14 
작업환경: Redhat 7.3 , Kernel 2.4.25 , CPU 1.5, RAM 1GHz, Via MotherBoard 
HDD 20G -> HDD 40G 로 Linux 시스템 변경 
필자: invain(a)intomail.net (http://invain.pe.kr ) NicName( invain ) 
 
 
기존의 하드 디스크를 HDD용량, SCSI로의 저장매체 변경을 이유로 
새로운 하드디스크로 교체시에 리눅스 시스템을 새 HDD로 이전하는 
작업에 대한 방법을 기술하였다. 
 
1. 새HDD의 파티션 생성( 추후 다르게 사용시 /etc/fstab를 수정) 
#>fdisk(cfdisk) /dev/hdd 
 
2. 새HDD의 파일 시스템 생성(ext3 기준) 
#>mkfs.ext3 /dev/hdd1 
SWAP 파티션의 경우 cfdisk로 지정 또는 아래 명령어로 생성. 
#>mkswap /dev/hdd2 
 
3. 기존HDD -> 새HDD (hdd1)로 Linux OS시스템 복사 
A. 기존 HDD 디렉토리와 동일하게 새HDD 디렉토리 생성/마운트 작업 
#>mount -t ext3 /dev/hdd1 /mnt/boot 
#>mount -t ext3 /dev/hdd3 /mnt/usr 
... 
B. 마운트 확인 
#>df -h 
 
C. 시스템 복사 작업  
( 기존HDD의 /디렉토리에서 boot, usr, etc ... 디렉토리를 하나 하나 복사하도록 권장.) 
#>cp -av /boot /mnt/boot 
#>cp -av /usr /mnt/usr 
... 
 
D. /proc(가상파일시스템)디렉토리는 복사할 필요가 없고, 디렉토리만 만들어주면 됨. 
 
4. 새로 복사한 HDD의 lilo.conf , fstab 파일 수정 
#>vi /mnt/etc/lilo.conf 
( vmlinuz , Systemmap , initrd.img HDD 변경 주소로 수정) 
#>vi /mnt/etc/fstab 
( 새HDD가 설치된 IDE 로 파티션 테이블 위치 수정) 
 
5. 부트로더 인식시키기 ( lilo , grub) 
A. 복구 시디로 부팅 ( 필자는 200M 용량의 SLAX 시디 이용[구글에서 검색해볼것.]) 
B. boot: 프롬프트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새 HDD로 Linux OS를 부팅. 
boot:linux root=/dev/hdd1 initrd= 
or boot:rescue root=/dev/hdd1 
or boot:vmlinuz root=/dev/hdd1 
C. 부팅이 완료되면 lilo 인식시키기 
#>lilo 
D. lilo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으면 리부팅. 
#> reboot 
 
6. 정상적으로 새HDD로 Linux OS가 부팅될 것이다. 
(이제 기존HDD를 떼어내고 새HDD를 이용 하여 Linux OS System으로 사용하면 됨.) 
 
 
Happy Linux.......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