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7/06/07 2

‘튀는 직장인’ 위에 ‘화합형 직장인’

‘튀는 직장인’ 위에 ‘화합형 직장인’ 최근 들어‘나만 잘하는 型’보다‘더불어 일하는 型’이 주가올라 독불장군型, 조직화합에 찬물… 생산성 떨어뜨려 기업들 “신입사원 선발 첫째 조건은 인성·예절” 김연주 기자 carol@chosun.com 입력 : 2007.06.07 01:18 / 수정 : 2007.06.07 03:04 대기업 H사(社)에 다니는 김모(34)씨. 입사 성적 1등에다 3년 차에 팀장을 맡을 만큼 업무 실적도 뛰어나지만 동료들 사이에선 ‘기피 대상 1호’다. 자기 말이 모두 옳고 남의 말은 무시하기 일쑤여서 동료들이 “그와 대화하면 하루 종일 우울하다”고 할 정도다. 처음엔 “똑똑하고 추진력 있다”고 좋아했던 상사들도 생각을 바꿨다. 김씨 한 명의 태도가 다른 직원들의 사기에 악영향을 미치고..

리더십은 계발된다

리더십은 계발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탁월한 사람이 되려는 열망보다는 자신이 탁월하지 못하는 이유를 찾아 변명하는 경향이 있다. 지금 당신은 어떤 수준의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가? 효과적인 리더십은 당신의 성공 뿐 아니라 당신과 함께 일하는 사람들의 성패여부까지 결정한다. 효과적인 리더십의 중요성을 말해주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영업회의에서 한 간부가 매우 저조한 실적으로 직원들을 심하게 나무라고 있었다. “지금까지 여러분이 남긴 초라한 실적과 변명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여러분이 이 일을 할 수 없다고 할지라도 우리 제품을 판매할 사람들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지금도 기회만 닿으면 뛰어들 사람들이 줄을 섰습니다.” 이어 그 간부는 자신의 말을 확인이나 하려는 듯 과거 프로 축구 선수였던 신입사원에게 물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