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7/11/30 3

자신의 성에 대해서 알고 있는가?- 영천이씨

나두 갑자기 궁금해 졌네요. 우리 가문은 [영천이씨] 다~ 시조는 고려의 평장사 문한(文漢)이며, 그의 후손인 신호위대장군 대영(大榮), 봉승랑(奉承郞) 겸 관농방어사(觀農防禦使) 중영(仲榮), 문하시중평장사 수춘(守椿)을 각각 중시조로 하는 파가 있다. 조선에서 문과 급제자 39명과 많은 명신·학자를 배출했으며, 역사상 대표적 인물로는 현보(賢輔)·종검(宗儉)·보흠(甫欽) 등이 있다. 현보는 연산군 때 문과에 급제, 부제학·호조참판·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하고 지중추부사에 올라 청백리에 녹선되었고, 종검은 세종 때 문과에 급제, 한림·직제학·대사간을 역임하고 역시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보흠은 세종 때 문과에 급제, 집현전박사를 지내고 단종손위 후에는 순흥부사(順興府使)로 있으면서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

돌아온 문화 대통령

중학교, 고등학교 시절 한푼 두푼 모은 돈으로 서태지 테잎을 사던 그 추억이 아직도 선합니다. 테잎케이스는 손상되었지만 그래도 전부 소장중인 테잎입니다. CD는 감히 엄두도 못내고 워크맨으로 등하교길에 들으면서 즐거워 했었던 그 노래들을 이렇게 하나의 아이템으로 몽땅 선물해 주다니... 전 한정판은 구하지를 못했습니다. 물론 항간의 지나친 상업성이다라는 말도 들리곤 하지만 그래도 그가 우리의 문화대통령이라는 사실은 쉽게 변하지 않을것입니다. 창조적인 뮤지션의 길을 걷는 고뇌속에서 팀해체와 수많은 기간동안의 잠적... 그런 그의 결단력과 행동들의 결과가 지금 우리들의 귓가에 들리는게 아니가 싶습니다. 곧 대한민국의 음악을 리드할 또 다른 선물을 안고 나타날 서태지를 기다려 봅니다.

가담항설 (街談巷說)

가담항설 街談巷說[거리 가/말씀 담/거리 항/말씀 설] [동]道聽道說(도청도설),街談巷語 (가담항어) [출전] 『논어(論語)』양화편(陽貨篇),『한서(漢書)』예문지(藝文志),『순자(荀子)』권학편(勸學篇) [내용]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는 것[道聽塗說]'은 덕을 버리는 것과 같다[德之棄也]. 길거리에서 들은 좋은 말[道聽]을 마음에 간직하여 자기 수양의 양식으로 삼지 않고 길거리에서 바로 다른 사람에게 말해 버리는 것[塗說]은 스스로 덕을 버리는 것과 같은 것이다. 좋은 말은 마음에 간직하고 자기 것으로 하지 않으면 덕을 쌓을 수 없다는 말이다.『논어(論語)』 ▷대체로 소설이란 것의 기원은 임금이 하층민의 풍속을 알기 위해 하급 관리에게 명하여 서술토록 한 데서 비롯되었다. 즉 세상 이야기라든가 길거리의..

반응형